본문 바로가기
일반상식

전세 사기 피하는 법! 절대 당하지 않는 7가지 필수 체크리스트

by 정보가득 가져오는 배우김새빛 2025. 4. 2.
반응형

요즘 뉴스만 봐도 전세 사기 피해자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평생 모은 돈을 날리지 않으려면? 계약 전에 반드시 아래 7가지를 확인하세요!



1. 등기부등본 조회는 필수! (무료 조회 가능)

등기부등본은 집의 소유권과 빚(근저당) 상태를 확인하는 가장 중요한 서류입니다.
✅ 발급 방법:

대법원 인터넷 등기소(https://www.iros.go.kr)에서 온라인 발급 가능

주택의 근저당(대출) 비율이 60% 이상이면 위험

가압류, 가처분 등 법적 문제 있으면 절대 계약 금지!


2. 전세보증보험 가입 가능한지 확인하기!

전세보증보험에 가입하면 집주인이 전세금을 떼먹어도 보험사가 대신 보상해 줍니다.
✅ 가입 가능 여부 확인 방법:

HUG(주택도시보증공사) 또는 SGI서울보증에서 조회

집주인이 거부하면 사기 가능성 높음 → 계약 피하기!


3. ‘전입신고+확정일자’ 바로 받을 수 있는지 체크

✅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는 내 보증금을 보호하는 강력한 무기!

전세 계약 후 즉시 주민센터에서 확정일자 받기

하지만, 근저당이 많으면 우선 변제권이 없을 수도 있음


TIP) 확정일자만 받아도 안전하다고 생각하면 큰일! 등기부등본도 꼭 확인하세요.



4. 집주인 신용 상태 확인 (체납 이력 체크)

✅ 집주인이 세금·대출 연체 중이면 위험 신호!

국세·지방세 미납이 있으면 집이 경매로 넘어갈 위험

방법: 전입 신고 전, ‘체납 정보 열람 청구’ 가능



5. 전세가율 80% 이상이면 위험!

✅ 전세가율 = (전세가 ÷ 매매가) × 100

예: 매매가 5억 원, 전세가 4억 원(전세가율 80%) → 위험!

전세가율이 70% 이하인 집이 상대적으로 안전



6. 월세나 반전세도 고려하기

✅ 전세 사기 위험이 높은 시기에는 반전세(보증금+월세)가 더 안전할 수도 있음.

사기범들은 전세금을 한 번에 먹튀하는 경우가 많음

월세나 반전세라면 피해가 줄어듦



7. 중개사도 믿지 말고, 직접 조사하기

✅ 중개사가 "괜찮아요~"라고 해도 직접 검증 필수!

공인중개사가 껴도 전세 사기는 발생 가능

반드시 등기부등본, 전세가율, 보증보험 가입 가능 여부 직접 확인


📌 전세 사기 예방을 위한 필수 체크리스트 요약!

✅ 등기부등본 확인 (근저당·압류 여부 체크)
✅ 전세보증보험 가입 가능 여부 확인
✅ 전입신고 & 확정일자 즉시 받을 수 있는지 체크
✅ 집주인 체납 이력 확인 (세금·대출 연체 여부 확인)
✅ 전세가율 80% 이상이면 위험!
✅ 반전세·월세도 고려하기
✅ 공인중개사 말만 믿지 말고 직접 조사하기

💡 이 7가지만 지키면 전세 사기 걱정 없습니다!
🔔 많은 사람들이 전세 사기를 피할 수 있도록 공유해주세요!



#전세사기방지 #전세사기예방 #전세사기피하는법 #등기부등본확인 #전세보증보험 #부동산꿀팁 #전세가율 #안전한전세 #부동산사기주의 #임대차계약 #확정일자 #전입신고 #부동산정보 #부동산투자 #전세사기당하지않는법


반응형